반응형

긴축정책
양적완화의 반대되는 의미로, 경기가 과열되었을 때 정부가 지출을 줄여서 과열된 경기를 억제 시키는 것이라고 합니다.
시중에 풀린 돈을 줄일 수 있을만큼 줄이는 것이라고 생각하면 됩니다.
재정적인 부분에서 정부 예산 감축이나 지출을 연기한다던가 억제 할 경우, 국민들에게 돌아갔던 지원들이 끊기거나 줄어들 수 있습니다.
우리나라가 아닌 미국이나 유럽이 긴축정책을 실시한다고 하면, 수출이 대부분인 한국은 간접적으로 타격을 입을 수도 있으니 대책을 세워야 할 정도로 조금은 두려운 정책이라고도 합니다.
작년에 이어서 올해에도 역시나 미국의 통화 긴축 정책은 이어지고 있는 듯합니다. 2023년 4월 24일 기준으로만 봐도 긴축정책이라는 단어만 쳐봐도, 쉽게 보실 수 있습니다. 미국의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는 수차례 금리를 인상하고 있습니다. 금리가 인상될 경우 기업의 신규 대출 수요가 줄어듭니다. 그리고 그만큼 기존에 있던 대출들도 상환하려 할 수 있습니다.
전체적으로 봤을 때, 적절한 상황이라면 경제가 다시 살아날 수 있는 방법 중 하나로 손꼽히는 정책이라고 생각이 들기도 합니다.
하지만, 그만큼 국민들의 세금은 늘어날 수 있고, 복지 혜택에 대해서는 감소될 수 있기 때문에 또다른 고통의 시작이 될 수도 있습니다.
어느 한쪽을 편을 들 수 없는 긴축정책.
경제가 살아나기 위해서는 양날의 검 같은 긴축을 이용해야만 하는 상황이 올 수도 있다는 생각에, 좀 더 경제적으로 공부를 해야만 한다고 생각합니다.
반응형
'세상이야기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벚꽃의 계절, 봄의 설렘을 찾아 떠나는 벚꽃명소 여행 (1) | 2025.03.11 |
---|---|
대중교통 지하철 시내버스 통합정기권 사용해서 이용하기 (0) | 2023.01.04 |
우리나라 만나이 계산하는 법 2023년 (0) | 2023.01.03 |
과자 유통기한 소비기한 알아보기 (0) | 2023.01.02 |
2023년 일자리 예산 선정과 투자 확대 (0) | 2023.01.02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