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
세상이야기

우리나라 만나이 계산하는 법 2023년

반응형

앞에 빠른을 붙여서 초등학교를 다른 친구들과는 다르게 1살 더 일찍 들어가는 경우가 사라지면서 올해부터는 아예 만 나이로 통일한다고 합니다. 우리나라 만 나이 같은 경우, 그냥 하나 더 가지고 있는 내 나이에 불과했습니다. 하지만, 이제 2023년 6월 기준으로 만 나이로 통일된다고 합니다. 외국에서 생활하시는 분들에게는 아무런 거리낌 없이 헷갈리지 않고 사용하실 수 있는 부분이지만, 저 같은 경우 굳이 이렇게 달라야 하나 싶기도 하면서 신기해서 계산하는 법에 대해서 검색해 봤습니다.

 

일단, 앞자리가 바뀌는 04년생, 94년생, 84년생, 74년생, 64년생 등 끝자리가 4로 끝나시는 분들은 원래 나이의 앞자리가 변하는 게 아니기 때문에 좋아실 듯합니다.

 

이번에 알아보면서 '연나이'도 처음 보게 되었습니다. 그래서 총 3가지의 나이계산법이 있었습니다.

만 나이 / 연나이 / 세는나이.. 살다 보니 느끼는 건 사람이 태어나서 배움에도 끝이 없듯이 나이도 숫자에 불과하지만, 늙어감에 따라서 나타나는 현상들 때문에 어쩔 수 없기도 하겠다.라는 생각도 들었습니다.

 

만 나이는 출생일을 기준으로 0살부터 시작해 생년월일을 기점으로 1년이 지날 때마다 1살씩 증가하는 계산하는 법입니다.

연나이는 현재 연도에서 출생 연도를 뺀 나이라고 합니다.

세는나이는 태어날 때부터 , 1살로 시작해서 다음 해 1월 1일이 되면 +1 이 된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.

 

만나이 자체가 국제적으로 통용되는 방식이다 보니 나이 기준과 관련해서 불필요했던 법적 다툼 또한 해소될 수 있다고 합니다. 6월 기준으로 개정된 법에 따라서 이제는 출생일을 포함하고 만 나이로 표시할 것을 명시하였다고 합니다. 다만 0살일 경우엔 개월수로 표시해야 합니다.

 

추가적으로 현재만나이로 계산되는 국민연금과 투표권 각 만 65세와 만 18세 같은 경우, 이미 추정되어 있기 때문에 크게 문제없이 그대로 진행된다고 합니다. 정확하게 정해진 건 차츰 정해질 것으로 보이지만, 어려움 없이 그대로 유지될 것으로 보입니다. 

 

정말 간단하게 이야기 하자면, 우리나라는 6월부터 생일이 지나지 않았으면 - (마이너스) 2살을 해주시면 되고, 생일이 지난 경우라면 -(마이너스) 1살을 해주시면 됩니다. 2023년 우리나라 만 나이 계산 하는 방법은 생각보다 어렵지 않습니다. 6월 28일부터 정확하게 시행될 예정이라고 합니다. 

 

점점 살아가는 데 있어서 편의를 위해서 변경되는 부분들이 하나 둘씩 생겨날 것으로 보입니다. 처음은 어색하고 낯설지만, 이 또한 편해질 때가 올 것으로 보입니다. 해가 바뀔때마다 어떻게 또 익숙함에서 변경 되는 부분이 찾아올 지 궁금합니다.

 

https://search.naver.com/search.naver?sm=tab_hty.top&where=nexearch&query=%EB%A7%8C%EB%82%98%EC%9D%B4%EA%B3%84%EC%82%B0%EA%B8%B0&oquery=%EA%B8%80%EC%9E%90%EC%88%98%EC%84%B8%EA%B8%B0&tqi=hJdgzdp0Yidssno8cewssssstt8-029826

 

만나이계산기 : 네이버 통합검색

'만나이계산기'의 네이버 통합검색 결과입니다.

search.naver.com

 

눌러보시면 좀 더 빠르게 확인 하실 수 있습니다. 참고 해 보세요 !

반응형