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
IT

아이패드 불량화소 테스트 간단하게 검사 하기

반응형

애플에서 MAC 시리즈를 이어서 많은제품들이 업그레이드 되면서 출시를 앞두고 있다보니

IPAD에 관심을 가지시는 분들도 많아지는 거 같은데요.

저는 구매한지 1년도 되지 않은 에어 3세대를 좀 더 사용해야하지만, 혹시나 새로 구입하실 분들을 위해서

아이패드 불량화소 에 대해서 도움이 되시길 바라는 마음으로 공유해보려고 합니다.

 

일단 위에서 상태창을 끌어내려와보면 위 사진 속에서 자물쇠 모양이 있는걸 확인 하실 수 있는데요.

 

이미 활성화 되어 있다면 괜찮지만, 되어있지 않으시다면 터치해서 켜줍니다.

이부분은 회전잠금을 켜주는거라서 가로로 화면을 돌려도 돌아가지 않습니다.

 

아이패드 불량화소 를 확인 하기 위해서 사용한 방법은 그림그리는 어플을 이용해서

전체 화면에 색을 가득 채운 다음에 저장해서 보는 방식으로 해봤는데요.

 

맨처음은 검정색으로 시작해서 , 총 8가지 색으로 확인 해봤는데요.

제 아이패드 불량화소 자체검사에서는 특별하게 눈에 띄지는 않더라구요.

제일 정확한건 맨 처음에 구매하신 다음에 필름을 붙히지 않은 상태에서 보시는게 제일 뚜렷하게

볼 수 있는것 같습니다. 아무래도 저는 종이질감 필름이 부착되어 있기 때문에 아이패드 불량화소 테스트를

진행하기에는 조금 거리가 멀지 않았나 싶기도 하더라구요.

 

이쪽계열에서 일해본 경험으로써는 아무리 이렇게 색을 딱 정해서 봐도 조금 채도가 낮은 색에서는 눈에 띄기도

하고, 복불복이라서 아이패드 불량화소 를 한번에 찾아내기란 조금 어려운데요.

안하는 것보단 하는게 더 마음이 편안해질 수 있기때문에 그냥 재미 삼아 한번 해보시기를 바랍니다.

 

마지막으로 한 화면에서 유독 눈에 띄게 뭐가 보이신다면, 꼭 서비스센터를 가셔서 수리 받으시기를 추천드립니다.

사용한지 얼마 되지 않은 상태에서 그냥 이러다 말겠지 했다가는 시간이 지나면서 더 진하게 보일 수 있고,

나중에는 더 크게 번질 수 있기 때문에 꼭 방문하세요.

 

 

반응형